2024. 1. 10. 08:55ㆍ#퍼스트 낙찰(落札)
안녕하세요. 1순위 낙찰 컨설팅입니다. 전자입찰과 관련하여 2024년 1월 1일부터 편리해진 것은 지문보안토큰의 의무사용이 폐지된 것입니다.
폐지에 따라 여러 인증할 수 있는 절차에 따라 입찰에 참여가 가능합니다.
해당 사용의무 폐지는 나라장터뿐만 아니라 한국토지주택공사 LH 전자조달시스템부터 지방자치단체, 조달청, 한국전력공사, 국방부, 한국도로공사, 인천국제공항 등 전자입찰 발주처 모두 해당됩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나라장터 지문보안토큰 등록
[ 나라장터 지문보안 토큰 등록 절차 ]
1. 공인인증서 발급기관에 인증서(범용)와 지문보안토큰 발급 신청한다.
2. 입찰에 참여 할 업체는 조달청 민원실에 방문하여 지문보안토큰을 발급받고 입찰 대리인의 지문을 등록해야 한다.
3. 조달청에 등록 된 지문보안토큰 정보는 문서유통을 통해 LH eBid(전자조달시스템)으로 전송된다. LH eBid에서 지문인식 입찰을 할 경우 입찰일 전까지 조달청에 지문보안토큰 등록을 완료하여야 한다.
4. 입찰에 참여 할 업체에서는 등록한 지문보안토큰을 이용하여 로그인하고 입찰에 참여한다.
지문인식 입찰 대상 건에 입찰 참여 시, 지문인식 예외자 또는 예외신청자를 제외한 모든 입찰 참가자는 지문보안토큰을 사용하여 로그인 및 입찰에 참여해야 한다.
[ 예외신청 정책 안내 ]
1. 1회 신청 시 48시간 동안 유효 – 신청내역 수정불가, 국/공휴일 계산에서 제외
2. 신청은 2 회까지만 가능하며, 추가 신청 필요시 반드시 조달청을 방문 후 적절한 조치를 취한 뒤 초기화 신청을 해야 한다.
3. 조달청에 방문하여 초기화 신청을 완료하면, 예외 신청 후 48시간 경과 이전에도 지문보안토큰을 사용하여 입찰 참여해야 하며, 다시 2회까지 예외신청을 할 수 있다.
2. 지문보안토큰 구동프로그램 설치
[ 지문보안토큰 구동 프로그램 설치 ]
1. 조달청 홈페이지(http://www.g2b.go.kr/) 접속
2. 상단 이용가이드 클릭
3. 메뉴>지문인식전자입찰 안내 클릭
4. 구동프로그램설치 클릭
5. 지문보안토큰 구동 프로그램 설치 페이지 * 각 제조사별, 지원운영체제 별로 선택 후 설치
6. 지문보안토큰 구동 프로그램 설치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각 제조사 별 홈페이지 및 콜센터를 활용
씨큐어에이티 : http://download.secureat.co.kr/sat/form/main.jsp?choice=CertCopy
※ 콜센터 : 1544-5520
유니온커뮤니티 : http://www.unioncomm.co.kr/bioseal/intro/auth2.asp
※ 콜센터 : 02-6488-3071
슈프리마 : http://www.supremainc.com/biosign/sub02_02.html
※ 콜센터 : 031-783-4507
3. 지문인식 로그인
[ 상세설명 ]
1. LH 공사 전자조달시스템을 접속하면 “지문인식로그인” 및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 보이고 지문보안토큰 사용자의 경우 “지문인식로그인”을 클릭한다.
(지문보안토큰 미 사용자의 경우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클릭하여 진행한다. 단, 지문인식 입찰 대상 건에 참여할 경우 반드시 “지문인식로그인”을 클릭하고, 지문보안토큰을 사용하여 로그인하여야 한다. )
2. 보안프로그램 창이 뜨면 바이오보안토큰을 선택하고, PC에 조달청에 등록한 지문보안토큰을 연결한다.
3. 바이오보안토큰 구동 프로그램 설치정보 창에서 현재 사용중인 지문보안토큰 제조업체를 선택한다. (구동프로그램 설치여부가 “설치 안됨”일 경우 구동프로그램 설치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보안토큰의 구동프로그램을 설치한다. 3페이지 참조)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나오면 지문보안토큰에 지문인식을 수행한다.
4. 지문보안토큰의 PIN번호를 입력 후 지문보안토큰에 저장된 인증서 중 사용할 인증서를 선택하고 “확인”버튼을 클릭한다.
4. 지문인식 예외적용 신청
[ 상세설명 ]
1. ‘Home > 예외신청’ 클릭한다.
2. 조달청에 지문보안토큰 등록을 완료하였으나 일시적으로 지문보안토큰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지문인식 예외적용 신청’을 통해 지문인식 대상 입찰건에 입찰 참여 할 수 있다.
3. 사업자번호, 주민등록번호, 보안토큰 제조사, 보안 코튼 일련번호, 신청사유 등을 입력 후 전송버튼을 클릭 한다.
4. 입력한 예외신청자의 개인용 인증서(은행 또는 증권사 통해 발급가능)를 선택하여 개인 신원 확인 후 법인용 인증서로 최종 신원확인을 한다. (개인용 인증서의 주민번호와 조달청에 등록된 대리인의 주민번호가 일치할 경우에만 예외신청 가능)
5. 지문인식 예외적용 신청현황
[ 상세설명 ]
1. ‘MyBid>나의정보>예외적용신청’ 메뉴를 선택하여 지문인식 예외적용신청 현황을 확인한다.
2. 기존에 제출한 ‘지문인식 예외적용 신청현황(이하예외신청)’을 “클릭”하여 해당
정보를 조회 할 수 있다.
3. 지문인식 예외적용 신청현황에서도 신청이 필요한 경우 “작성”버튼을 클릭하여 추가적으로 작성을 할 수 있다.
6. 지문인식 공고 투찰(지문인식 로그인한 경우)
[ 상세설명 ]
1. 입찰서 내용을 입력 후 입찰서 “제출” 버튼을 클릭한다.
2. 제출버튼 클릭 시 인증서 선택 창이 뜨는 경우 사용할 인증서를 선택하여 재 인증한다.
3. 바이오보안토큰을 선택한 경우에 한해 지문보안토큰의 PIN번호를 입력 후 지문보안토큰에 저장된 인증서 중 사용할 인증서를 선택하고 “확인”버튼을 클릭한다.
4. 입찰서 제출이 완료되고 제출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7. 지문인식 공고 투찰(공인인증서 로그인한 경우)
[ 상세설명 ]
1. 지문인식 입찰 대상건인 경우, 입찰서 제출 불가 사유 화면으로 이동되어 사유를 확인할 수 있다.
단, 지문인식 대상 공고가 아닌 경우에는 입찰서 제출을 바로 할 수 있다.
2. 지문인식 입찰 대상건에 입찰 참여하기 위해서는 “지문인식 로그인 바로가기”를 클릭하여 지문보안토큰을 통해 재로그인하여야 한다.
3. 일시적으로 지문보안토큰 사용이 불가능할 경우 “지문인식 예외적용 신청바로가기”를 클릭하여 지문인식 예외신청을 한 뒤 입찰에 참여할 수 있다. (6,7페이지 참조)
- 그림③은 나라장터에서 지문인식예외 신청한 경우 절차이며,
입찰서 작성 페이지에 들어가면 그림 ②과 같이 지문인식 예외자 확인 버튼을 눌러
확인 후 입찰서 작성화면으로 넘어갈 수 있다.
- LH전자조달에서 지문인식예외 신청한 경우 그림③과 같은 절차없이 입찰서 작성화면으로
넘어간다.
4. 나라장터(G2B)에 지문인식 불가능자로 등록된 경우 “지문인식예외자확인”을 통해 입찰에 참여할 수 있다. 조달청에 지문인식 불가능자로 등록된 정보의 신청자명과 주민등록번호 및 개인용(범용) 인증서의 정보가 일치할 경우 신원 확인이 된다.
D. 참고사항
나라장터에서 지문인식예외신청한 경우 익일 반영되며,
전자조달시스템 > My Bid > 나의정보 화면에서 G2B수신 버튼을 눌러 강제수신이
가능하다.
즉, 나라장터 지문인식 입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조달청에 지문보안토큰 등록
2. 지문보안토큰 구동 프로그램 설치
3. 지문인식 로그인
4. 지문인식 예외적용 신청
5. 지문인식 예외적용 신청현황 확인
6. 지문인식 공고 투찰(지문인식 로그인한 경우)
7. 지문인식 공고 투찰(공인인증서 로그인한 경우)
지문인식 입찰 대상 공고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지문보안토큰을 사용하여 로그인해야 하며, 지문보안토큰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예외신청을 통해 입찰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전자입찰과 관련해서는 언제나 1순위 낙찰 컨설팅에 문의하시면 성심 것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퍼스트 낙찰(落札)'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전자입찰 변화와 기회: 지문보안토큰 폐지, 간편인증 도입, 그리고 중소기업을 위한 새로운 컨설팅 전략 (0) | 2024.01.11 |
---|---|
조달청 나라장터 시스템 작업 따른 서비스 중단 1순위 낙찰 컨설팅 (0) | 2024.01.10 |
2024년의 변화: 전자입찰 시스템의 혁신, 새로운 환경법, 그리고 전국의 나라장터 시설공사 업체들에게 낙찰 기회 (1) | 2024.01.08 |
스타벅스 세종반곡점의 디카페인 우유라떼와 무료 우유 서비스: 논란, 오해, 그리고 전자입찰 전문가의 통찰 (0) | 2024.01.07 |
전북특별자치도의 전자입찰 새로운 시작: 지역의 미래를 그리다 (1) | 2024.01.05 |